• HOME
  • 학과HOME
  • 학생활동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철도건설안전공학과
철도건설안전공학과
  • 학과소개
    • 인사말
    • 교육목표
    • 학과개요
    • 전공소개
    • 학과행사
    • 학과의 자랑거리
    • 전공역량체계
  • 교육과정소개
    • 학년별
  • 교수소개
    • 교수별소개
  • 입시정보
    • 입학정보
  • 취업코너
    • 졸업후진로
    • 취득자격증
    • 취업정보
  • 커뮤니티
    • 학과공지
    • 자료실
    • 학과소식
    • 갤러리
    • 학생활동
    • 페이스북
메뉴
  • 학과소개
    • 인사말
    • 교육목표
    • 학과개요
    • 전공소개
    • 학과행사
    • 학과의 자랑거리
    • 전공역량체계
  • 교육과정소개
    • 학년별
  • 교수소개
    • 교수별소개
  • 입시정보
    • 입학정보
  • 취업코너
    • 졸업후진로
    • 취득자격증
    • 취업정보
  • 커뮤니티
    • 학과공지
    • 자료실
    • 학과소식
    • 갤러리
    • 학생활동
    • 페이스북

HOME   >   교육과정소개   >   학년별

교육과정소개

  • 학년별

학년별

□ 교육과정 체계도

 

그림6

  • ▸CAD 이론 및 실습(Theory and Practical Training for CAD)

    철도건설설계 실무에서는 모든 도면을 컴퓨터를 이용한 CAD로 작도한다. 본 강의는 토목설계의 기본이 되는 도면을 Auto CAD를 이용하여 작도하고 수량을 산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하여 개설하였다. 강의는 주로 실습 위주로 구성이 되며, AutoCAD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습을 한다.

  • ▸철도공학 개론(Introduction to Railroad Engineering)

    철도공학 개론은 열차를 운행하기 위한 철도 시스템의 기초적인지식을 습득하고 철도 시스템의 개념과 철도 선로 및 구조, 철도 차량 및 운행, 철도 신호 및 통신 시스템, 철도 전력 시스템, 철도 안전 및 규제, 철도 운영 및 계획, 미래의 철도 기술 등 철도건설 분야의 심화를 위한 선행하기 위한 내용을 학습한다.

  • ▸철도관련법(Railway Safety Laws)

    철도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한 철도안전법을 중심으로, 철도안전관리체계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다룬다. 또한 철도안전법 시행령, 시행규칙 등 기타 관제법규에 대해서도 학습한다.

  • ▸컴퓨터 응용 및 실습(Computer Application and Practical Training)

    건설안전 실무에 주로 이용되는 컴퓨터의 활용능력을 배양하기 위하여 컴퓨터 일반이론인 컴퓨터 시스템 개요, 컴퓨터 하드웨어, PC운영체제, 컴퓨터 소프트웨어, 정보통신과 인터넷, 정보화 사회와 컴퓨터 보안 및 멀티미디어와 스프레드시트 일반이론인 입력 및 편집, 수식활용, 차트작성, 출력, 데이터 관리, 데이터 분석 및 매크로 작성을 일론 과 실기의 능력을 배양한다.

  • ▸BIM 실습(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Practice)

    BIM 교과목은 이론과 실습을 통해 BIM의 적용 기술과 전략을 배우고, 실제 프로젝트에서의 적용 능력을 배양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신입생들은 BIM을 통해 건축물의 전체 생애 주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협업과 의사결정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 BIM의 기본 개념, 모델링, 활용, 프로젝트 관리, 미래의 BIM 기술 등 실무적인 감각을 배양한다.

  • ▸정역학(Static mechanics)

    정역학은 물체에 작용하는 힘과 모멘트가 평형을 이루는 상태를 분석하는 교과목이다. 주로 구조물, 기계 부품 등의 안전성을 평가하며, 힘의 합성, 분해, 모멘트의 계산 등을 다룬다. 정역학 교과목은 공학 기초 이론으로, 다양한 엔지니어링 문제 해결에 필수적인 지식을 배양한다.

  • ▸도시철도시스템(Urban Railway System)

    철도차량운전면허 시험에 대비하여 도시철도 및 일반철도 시스템의 차량, 궤도, 시설, 전철전력, 신호, 통신 등 전반적 분야의 기술에 대한 사항과 이를 운용하는 운영체계에 대한 종합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 ▸교통공학(Traffic Engineering)

    교통공학이란, 사람과 화물의 이동에 관련된 모든 요소의 상호관계와 그 이동에 의해 파생되는 문제를 해석함으로써 교통체제를 보다 합리적으로 계획, 설계, 운영, 통제하기 위한 학문적 이론을 논리적으로 분석하는 학문이며, 가로, 도로 및 그에 접하는 토지에 대해 계획 및 기하학적 설계를 하며, 이를 이용하는 여객 및 화물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그리고 경제적인 수송이 되도록 교통관리운용을 취급하는 공학 분야이다. 여기서 본 교과목에서는 도로계획을 세우기 위한 기초가 되는 중요과목의 하나인 도로교통공학을 중심으로 상세하게 다루며, 나아가 도시교통계획 및 도로계획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교통이란 개념을 학생들에게 심어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재료역학(mechanics of materials)

    재료역학은 변형체가 힘을 받았을 때 유발되는 외적효과와 내적효과를 다루는 변형체 역학에 속한다. 구조 및 토질역학의 기초를 구성하는 과목이다. 과목의 목표는 주어진 문제들을 논리적인 방법으로 해석하는 능력을 개발 시켜서 그 결과를 몇가지 근본적이고 잘 알려진 원리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강의 내용은 응력의 개념, 응력과 변형율-축하중, 비틀림, 순수굽힘, 축방향 하중, 응력과 변형률의 변환 등으로 구성된다.

  • ▸토질역학 및 실험(Soil Mechanics and Laboratory Test)

    토질역학은 지반의 물리적 및 기계적 성질을 연구하고, 이들 성질이 구조물의 설계와 건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학문으로 지반 조사의 기본 자료가 되는 흙의 물리적 특성 및 역학적 특성을 규명하는 이론을 강의하고 학생들의 자기주도적인 실험 실습을 통해 실제 건설 공사의 기초와 철도의 노반의 공학적 자료로 할용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건설재료학(1)(2)(Construction Material)

    철도궤도재료 및 실습과목은 철도궤도에 사용되는 재료의 종류 및 특성에 대해서 강의하는 과목으로 강의를 기초로 실습도 함께 동반하는 과목이다. 특히 철도궤도의 주재료인 콘크리트에 대해서는 성분, 특성 및 설계방법에 대해 중점 강의한다.

  • ▸유체역학의 이해(Understanding of Fluid Mechanics)

    건설기반의 실무에서 주 관심사가 되는 유체인 물에 관한 역학적인 기본원리를 학습 및 이해하는 학문으로 주요 내용으로는 물의 기본성질, 유체정역학, 유체운동학, 유체에너지, 유체동역학, 차원해석, 층류, 및 난류에 대하여 학습한다. 또한 유체의 기본적인 역학적 연산과정을 이해 및 계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자연재해와 수리학 (Natural Disasters and Hydraulics)

    자연재해와 수리학은 유체역학의 이해를 기초로 하여 자연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자연재해 중에서 물로 인해 발생하는 자연재해를 이해하고, 이러한 자연재해의 방재개념와 여러 가지 수리학적 문제들을 실제적으로 해결하는 교과목으로 관수로내의 정상류해석, 관로시스템, 관망내 흐름해석 및 개수로의 기본이론을 이용하여 등류해석, 한계류해석, 급변류해석, 점변류 해석, 부정부등류의 해석 및 유사해석을 학습한다.

  • ▸교통계획(Transportation planning)

    교통계획은 수송의 주체인 사람이나 화물을 안전하고, 편리하고, 쾌적하고, 경제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과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현재 상황을 묘사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고, 모형을 통하여 장래를 예측하고 대안을 분석, 평가하여 최선의 대안을 선택하여 집행하는 과정을 학습한다.

  • ▸철도노반공학 및 실험(Railroad Subgrade Engineering and Test)

    철도노반공학은 토질역학을 기반으로 노반 구조물의 설계, 시공, 유지보수를 다루는 학문이며 그 과정에서 흙구조물의 응력, 전단강도, 토압, 사면 등의 안전성에 대해 이론적으로 학습하고 이론적 지식을 실제 상황에 적용함으로써 이해도를 높이고 실무 능력을 향상시켜 전문성을 강화하여 학생들이 현장에 나가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직무능력연습(National Competency Standard)

    본 교과목은 공공기관 및 공기업 뿐만 아니라 일반기업체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채용에 대비하여 직무수행에 필요한 기초지식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NCS 직업기초지식은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조 직이해능력, 정보능력 등 10개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이들 10개 영역에 대하여 각 능력단위별로 지식 및 기술체계와 직무태도에 대 하여 학습한다.

  • ▸측량정보공학(Surveying Information Engineering)

    측량정보공학은 건설 분야의 기본이 되는 학문이라 할 수 있다. 지표 위에 있는 여러 점들이 상호간의 위치를 정하고, 이것을 기준으로 지도나 도면을 만들거나 면적 및 체적을 측정하며, 또 이를 지상에 표시하는 모든 작업이다. 현대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측량기술은 급변하고 있다. 다양한 측량기기에 따라, 측량방법도 급변하지만, 측량의 역사를 통해 축적된 다양한 내용과 새롭게 정립된 내용을 공부함으로서 측량학의 주요 개념과 방법론을 습득하는 것이 본 교과목의 목적이다.

  • ▸구조역학(Structural Mechanics)

    구조역학은 구조공학의 기초학문으로 외력이 작용할때 구조물에 발생하는 단면 내력과 변위를 해석하는 이론과 방법을 다루는 과목이다. 주요 내용으로는 보, 트러스, 라멘 같은 정정 평면구조물의 해석에 대해 정리하고, 구조물 처짐해석의 여러 가지 방법 즉, 모멘트면적법, 공액보법 같은 기학적 방법과 가상일의 방법 등의 에너지 방법에 대하여 다룬다. 본 교과목은 철도토목학과 학생들이 구조역학 관련 개념을 정확이 이해하고, 응용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우는데 있다.

  • ▸스마트철도건설기술(Smart Railroad Construction Technology)

    스마트철도건설기술(Smart Railroad Construction Technology)은 철도 건설 과정에 정보통신기술(ICT)과 자동화 기술을 적용하여 효율성을 높이고, 안전성을 강화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교과목이다. 스마트 건설 장비,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및 지능형 인프라 관리 기술을 중점적으로 다루며, 철도 건설의 혁신과 지속 가능성을 실현하는 데 필요한 역량을 키우는데 있다.

  • ▸철근콘크리트공학(Reinforced Concrete Engineering)

    철근 콘크리트는 단일부재인 강구조와 달리 콘크리트와 철근이 합성된 합성구조이기 때문에 외부하중에 대한 구조적 거동이 다소 복잡하다. 따라서 설계이론도 강구조와 같이 단순하지 않으며, 다소 복잡하다. 본 과목은 외부 하중에 콘크리트의 구조적 거동을 파악하고 철근콘크리트의 기본성질과 그 해석 및 설계를 이해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 ▸기후변화와 수문학 (Climate Change and Hydrology)

    지구상에서의 물 순환의 원인인 주요 기상학적 인자와 수문학간의 관계 및 수자원 개발의 기본이 되는 물 순환과정을 형성하는 개개 성분과정인 강수, 증발과 증산, 침투와 침루, 지하수, 하천유출 등의 양적측정 및 각종 해석방법을 학습한다. 또한 기후변화로 발생되는 다양한 수문학적 문제점을 수문성분과정의 모형화방법 및 홍수추적기법을 연계하여 각종 기존모형의 모형화기법 및 수문량의 빈도해석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 ▸응용측량학(Applied Surveying)

    응용측량학실습은 이론과 함께 실습이 중요하므로 각 측량 방법에 대해 충분한 실습으로 이해를 더욱 증진시킬 것이다. 또한 측량학은 토목 관련 각종 국가시험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함으로, 기존출제문제를 파악하게 하고 실제 시험에 대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며. 매주 강의는 각 주제 및 측량방법별로 진행되며, 적절한 실습으로 구성된다.

  • ▸구조해석프로그램(Structural Analysis Program)

    범용적인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외력에 의한 궤도토목 등의 거동을 해석하는 교과로, 입력 데이터 작성법과 구조설계기준에 의한 해석과정을 공부하고, 프로그램의 수행결과를 이용하여 부재 설계 방법 등을 학습한다.

  • ▸풍수해와 환경변화 (Flood Damage and Environmental Change)

    풍수해와 환경변화는 자연재해 중 하나인 풍수해의 기초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최근에 발생되는 환경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공학으로 환경공학 이론을 바탕으로, 산업화와 도시화의 영향으로 인하여 심각한 수질오염의 이해를 필요로 한다. 본 교과목의 주요 내용으로는 상수 분야에서는 풍수해, 수도기본계획, 수질, 수원, 취수, 도수, 송수, 정수, 배수 및 급수에 대하여 이해하고 학습한다. 또한 하수 분야에서는 하수시설계획, 하수관로시설, 펌프 및 하수처리장 시설에 대하여 이해하고 학습한다.

  • ▸궤도역학(Railroad Track Mechanics)

    궤도를 구성하는 모든 요소에 작용하는 응력의 이론적인 규명은 대단히 복잡하고 어렵다. 본 과목에서는 궤도각부의 역학적 해석과 열차의 안전운행에 필요한 궤도와 차량과의 관계를 역학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을 이해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과목에서는 가설구조인 궤도에 열차하중과 기상조건 등에 의해 궤도 각부에 발생하는 응력, 변형, 진동 등을 해석하여 궤도의 열화를 취소화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진 및 동영상을 통해 궤도 부설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 ▸철도노반 시공학(Railroad-bed Construction Engineering)

    철도 건설현장에 활용가능한 공법과 기술을 익히기 위한 분야로 실무에 필요한 기본이론인 시공계획, 공정계획 및 공정표 작성과 실무능력을 배양하기 위하여 궤도부설, 토공작업, 건설공정계획, 기초공, 콘크리트공, 터널공, 교량공 등 전반적인 건설시공분야에 대하여 학습한다.

  • ▸PSC구조설계(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 Design)

    PS 콘크리트는 철근과 콘크리트로 구성된 철근 콘크리트구조물에 철근 콘크리트의 최대 약점인 허용인장력이 작다는 것을 보완하기 위해서 강선을 추가로 도입한 복합구조물이다. 복합구조이기 때문에 외부하중에 대한 구조적 거동 및 설계이론이 철근콘크리트보다도 다소 복잡하다. 본 과목은 외부 하중에 대한 PS콘크리트의 구조적 거동을 파악하고 PS콘크리트의 기본성질과 그 해석 및 설계를 이해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사진 및 동영상을 이용하여 시공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 ▸하천방재학(Rehabilitation of descent)

    철도하천방재학은 하천복원을 위하여 하천의 형태, 제방, 웅덩이 및 하천변 식생활복원까지의 내용을 학습한다. 구체적인 학습내용으로는 종합적 접근으로서의 자연환경복원, 새로운 환경적 패러다임을 위한 기초로서의 자연환경복원 및 생태복원학과 지속가능발전 등을 학습하여 이론에서 실무에 이르기까지 상호 관련되어 복원활동의 내용을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구조동역학(Structural Dynamics)

    구조동역학은 풍하중, 지진하중, 차량하중 등에 의해 동적으로 거동하는 구조물을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교과목이다. 구조물을 비감쇠 구조계와 감쇠구조계 및 단자유도계와 다자유독계로 구분하여 운동방정식을 세우고 그 방정식을 푸는 과정을 학습하며, 단자유도계의 경우 일반하중에 대하여 수치해석으로 응답을 구하는 과정 및 지진에 의한 응답스펙트럼을 구하는 과정을 다룬다. 또한 다자유도계에 대한 모드해석 및 지진하중에 대한 구조해석을 학습한다.

  • ▸철도노반건설 실무(1), (2)(Railroad-bed Construction Practice)

    철도노반건설 실무는 토질역학 및 토목시공학의 기본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토목 건설 프로젝트의 효율적인 계획, 실행, 모니터링 및 통제를 학습하고 이 과정에서는 필요한 자재, 인력, 장비 등을 계산하여 예산을 수립하고 자원을 관리하는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배운다. 이러한 학습을 통해 전문성 향상과 토목기사 자격을 갖출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캡스톤디자인 (Capstone Design)

    본 교과목은 선수강과목인 철도건설응용설계 (Railroad Construction Design)에서 실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철도건설 종합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습(제작·설계)하며 나아가 각종 관련 공모전(대한토목학회, 한국철도학회)에 출품을 목표로 실습한다.

  • ▸도시방재학(City Disaster Prevention)

    철도도시방재학에서는 실무에서 사용하고 있는 상업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컴퓨터로서 대형 및 소형댐 그리고 보 구조물을 비롯하여 방수로 및 도수로를 포함한 각종 수로와 같은 수공구조물을 허용안전율을 고려한 설계 및 모형화하는 기법을 학습한다. 따라서 각종 수공구조물의 설계 시에 구조물의 안전성 및 위험도의 최소화 기법등에 관한 이론을 학습하여 실무에서의 문제점 및 분석방법 등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교통안전공학(Traffic Safety Engineering)

    교통안전공학은 도로, 철도, 자동차, 열차, 운전자 및 보행자들이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할 때 발생하는 교통사고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으로서, 교육(Education), 규제(Enforcement), 공학적 구조개선(Engineering)에 집약된다. 이 과목은 교통사고의 조사, 사고의 원인분석, 안전개선계획, 안전시설에 대해서 이해하고 외국의 교통안전진단에 관해서도 이해하고 다한양 변수에 따라 교통문제를 개선하는 방법론을 학생들에게 교수한다.

  • ▸스마트구조물유지관리(Smart Structures Maintenance)

    구조물은 완공후 사용하중 및 기타 외부하중에 의해 지속적으로 손상을 받게 된다. 비록 설계자가 이러한 외부하중에 공용년수동안 안전하도록 설계할지라도 설계단계에서 고려하지 않은 외부하중 및 기상변화에 따른 구조물의 내구손상등으로 인해 구조물은 내하력이 감소하게 된다. 본 과목은 공용중인 구조물에 대한 안전진단 및 내하력 산정방법을 파악하여 구조물의 유지관리 및 안전진단을 이해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 ▸고속철도 교량(High Speed Railway Bridge)

    고속철도 교량 형식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고, 설계 기법과 설계 기준, 동적 안정성 검토를 학습한다. 또한 교량상 장대레일 축력해석, 교량 단부 사용성 검토, 유지관리 및 손상 진단 기법을 다루며, 최신 기술을 기반으로 실무 능력을 배양한다. 고속철도 교량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한 종합적인 이론, 최신 기술 및 연구사례를 통해 고속철도 교량의 안정적 운용에 필수적인 지식을 학습한다.

  • ▸고속철도 노반설계(Railroad-bed Design for High Speed Railway)

    고속철도의 안정적 주행을 위해 필수적인 노반 구조물의 설계 원리와 절차를 학습한다. 토질역학, 지반공학의 이론을 바탕으로 고속철도 노반의 성능 기준과 안전성 평가 방법을 다룬다. 지반 특성, 하중 분포, 배수 설계 등을 고려한 실무적 설계 방법 및 지식을 학습한다.

  • ▸고속철도 궤도설계 및 해석(Track Design and Analysis for High Speed Railway)

    고속철도 궤도설계 원칙과 해석 방법을 심층적으로 다룬다. 궤도의 선형 설계, 레일 및 도상 구성요소의 배치, 유지 보수 기준을 학습하며, 궤도와 열차의 상호작용에 대한 해석을 포함한다. 궤도 진동, 소음 해석을 통해 고속철도의 안정성과 승차감을 보장하는 설계 방법 및 지식을 학습한다.

  • ▸고속철도 궤도유지관리(Track Maintenance for High Speed Railway)

    고속철도 궤도에 작용하는 정, 동적 하중체계(윤중 및 횡압)와 이에 따른 궤도부담력(궤도변위, 응력 및 가속도)의 변화를 이론 및 실습을 통해 학습하며, 궤도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궤도구조의 구조적 안전성(Safety) 및 안정성(Stability) 평가, 궤도진단과 유지관리 방안을 학습한다.

메뉴 메뉴열기
  • 교내전화번호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 개인정보처리방침
철도건설안전공학과
  • 교내전화번호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 개인정보처리방침

연락처 : 054-630-1240   위치 : 우) 36040 경북 영주시 풍기읍 동양대로 145 장영실관 2층 3212호 철도대학통합사무실

Copyright © 2015 by DONGYANG UNIV. All Rights Reserved.

  • 스마트건축공학과
  • 스마트기계공학과
  • 스마트모빌리티학과
  • 철도대학
  • 철도건설안전공학과
  • 철도운전관제학과
  • 철도운전제어학과
  • 철도운전ㆍ전기신호학과
  • 철도차량학과
  • 철도자율전공학부
  • 철도경영학과
  • 철도차량시스템학과
  • 철도관제정보학과
  • 간호학과
  • 국제경영학과
  • 디지털콘텐츠학과
  • 의무군사학과
  • 정보통신군사학과
  • 사회복지학과
  • 도시ㆍ부동산학과
  • AI융합사회복지학과
  • 건축소방안전학과
  • 경찰범죄심리학과
  • 공공인재학부
  • 군사학과
  • 스마트모빌리티학과
  • 스마트모빌리티학과
  • 보건의료복지학과
  • 유아교육과
  • 게임학부
  • 디지털트윈소프트웨어학과
  • 스마트안전시스템학부
  • 웹툰애니메이션학과
  • AI빅데이터융합학과
  • IT융합경영학과
  • e스포츠학과
  • 공연영상학부
  • 디자인학부
  • 생활체육학과
  • 도시철도시스템학과
  • 현암교양교육원
  • 영주 캠퍼스
  • 동두천 캠퍼스
  • 동양대학교 대학원
  • 동양대학교 입학홍보처
  • 산학협력단
  • 영주캠퍼스 생활관
  • 동두천 캠퍼스 생활관
  • e클래스
  • 동양대학교 발전기금
  • 웹오피스
  • 학사인트라넷
  • 공무원사관학교
  • 인터넷증명발급
  • 중앙도서관
  • 웹메일
  • C&M
  • 한국학센터
  • 어학교육원
  • 철도사관학교
  • 미래교육혁신원
  • 국제교류원
  • 학생상담센터
  • 한국선비연구원
  • 학군단
  • 영어영재교육센터
  • 인권센터
  • 신문사